ABOUT ME

Today
Yesterday
Total
  • 17. 모멘텀의 오묘한 세계(4) - 절대모멘텀
    할수있다 알고투자 2020. 7. 26. 23:43

    AQR

    A Century of Evidence on Trend-Following Investing(2018)

    복습 : JT의 상대모멘텀(8,12번 영상)

    - 최근 3~12개월 많이 오른 주식은

    매수 후 3~12개월 후에도 계속 오른다

    - "최근 수익 상위 10%에 투자!"

    절대모멘텀(추세추종) 이란?

    - 상승장에는 매수, 하락장에는 매도/공매도!

    - 상승, 하락장은 어떻게 구분?

    최근 특정 주식/지수의 X개월 수익이 0 이상이면 매수

    0 이하면 매도 및 현금화 또는 공매도!

    이 논문에서 X는 1, 3, 12개월로 테스트함

    요약1

    137년에 걸쳐 67개 시장 백테스트,

    절대모멘텀은 먹힌다!

    - 전통 자산과 상관성이 적다

    - 주식시장 대박살 날 때 절대모멘텀은 돈을 벌었다

    - 호경기/불경기, 전쟁/평화, 고금리/저금리 환경에도

    다 먹힌다

    투자젼략 : 매수/공매도 공격형, 변동성 10%

    - 절대모멘텀 기준 : 1,3,12개월 3개 사용

    - 기준수익이 무위험수익 이상이면 매수, 이하면 공매도

    늘 매수 또는 공매도 포지션을 유지!

    => 올랐냐 안올랐냐가 아닌,

    무위험수익보다 좋았냐, 안좋았냐임

    예를들면 12개월 기준으로, 은행 이율이 2%일때

    12개월 코스피 수익률이 1.5%이면 무위험수익 이하

    12개월 코스피 수익률이 3%이면 무위험수익 이상

    절대모멘텀 투자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,

    코스피 수익률이 무위험수익 이상이면 인덱스 매수!

    이하이면 리버스 매수!

    - 변동성 조절 : 투자 전 3년 변동성 기준

    10% 변동성 조절

    예1: KOSPI의 변동성은 20% - 자산의 50%만 투자

    예2: 중기채권의 변동성은 5% - 자산의 200% 투자

    (레버리지)

    이게 뭔말인고?

    코스피 변동성이 20%면 우리는 변동성을 10%로

    맞춰야 하니 변동성을 절반으로 줄여야 함.

    자산의 50%는 코스피에 투자하고, 나머지는 현금보유

    현금은 변동성이 없으므로 코스피의 변동성 20%가

    절반으로 줄어드는 효과

    중기채권은 변동성 5%를 두배로 올려야 하니,

    자산의 200%를 투자하는건데 이때는 레버리지 활용

    - 심지어 거래비용과 펀드수수료도 고려

    거래비용 : 상당히 보수적으로 측정

    펀드수수료 : 매년 자산의 2%, 수익의 20%로 산정

    요약2 : 거래비용 빼고도 초과수익 11% !!

    요약3 : 개별자산 vs. 주식시장 : 51-16

    67개 자산 중 51개 개별자산에서는 통했다

    16개 시장에서는 잘 안통했다

    요약4 : 하락장에서는 제대로 빛을 발한다!

    - 나는 공매도(인버스)하거든!

    요약6 : 어느 환경에도 이긴다!

    - 불황, 전쟁, 인플레, 고금리 따위

    절대모멘텀 대박! 어떻게 따라하나?

    - 공매도 어려움 ㅠ

    - 한국에서 거의 유일한 방법 : 코스피 레버리지/인버스

    - 공매도 안하고 '상승장 매수, 하락장 현금/채권 보유'

    https://youtu.be/MUSzNfLbyew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