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4. 우량주란 무엇인가(2) - F Score
Joseph Piotroski
Value Investing : The Use of Historical Financial Satatement Information to Seperate Winners from Losers(2000)
요약 : 저평가 + 우량주 부자는 어떻게?
F-Score를 사용하시라!
강환국님이 가장 좋아하는 논문 중 하나
- 우량주를 구분하는 지표, 찾기 어려움(ROE, ROA는 아님)
- 저PBR은 굿! 그러나 그중 분명 개잡주도 있음
저PBR 중 57%는 주가지수보다 수익이 낮음
- 어떻게 저PBR 중 우량주를 구분해 내는가?
피오트로스키 교수 전에도 우량주지표 발굴노력 활발했음
- 피오 천재성 : 9개 지표를 yes, no 지표로 구성
- yes인 지표를 더해서 0-9점 점수를 내는 F-Score 구현
- 바로 이 F-Score가 우량주, 개잡주를 꽤 잘 구분함
그 9개 지표란?
- 수익성
(1) 순이익 흑자여부,
(2) 영업현금흐름 흑자여부
(3) ROA 증가여부
(4) '영업현금흐름-순이익' +여부
- 안정성
(5) 부채비율 감소여부
(6) 유동비율 증가여부 - 유동비율 올라가는게 좋음
(7) 주식발행 여부 - 안하면 1점, 하면 0점
- 효율성
(8) 마진(매출총이익/매출) 증가여부
(9) 자산회전율(매출/자산) 증가여부
yes의 답을 더하면 F-Score 계산 완료!
직접하면 번거로움 - 퀀트킹!
8~9점 : F-Score 고점 기업
0~1점 : F-Score 저점 기업
요약1 : 저 PBR + 고 F-Score 주식 수익 높음
- 1976~96년 : 저PBR보다도 7.5% 높음
- 주가지수를 이길 확률 : 43%에서 50%로 개선됨(그래도 반반이네?!)
요약2 : (역시) 소형주에서 잘 먹힘
- 그러나 모든 시총부분에서 고 F 수익 > 저 F 수익
요약3 : 저가, 저거래량, 애널 관심 없으면 굿
요약4 : 고 F-Score주, 미래 ROA 개선, 파산 가능성 감소!
요약5 : 고 F-Score주 "Positive Surprise"
투자자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내고,
그러니까 주가가 오르고.